사와디 캅^^ 여러분의 슬기로운 태국 생활과 여행의 안내자, 태국 탐험가 'Son Sun' 입니다!
지난 편에서 태국의 “전통적인 결혼문화”에 대해서 살펴보았는 데,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이제 태국에서도 “결혼을 바라보는 시각과 결혼식의 형태”도 많이 변화하고 있는 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태국의 결혼 문화” 마지막 편으로 “현대의 결혼 문화”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현재 태국의 결혼 문화의 변화와 원인
한때 전통과 불교 의식으로 가득했던 '태국의 결혼 문화'는 여전히 문화적 뿌리를 간직한 채로, 현대적인 감성과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해 "전통과 서구식 스타일이 융합"한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1. 결혼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1) 과거에는 결혼이 인생의 필수적인 ‘통과 의례’로 여겨졌다면, 현대 태국 사회에서는 자율적인 연애와 결혼을 선호하는 젊은 세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2) 결혼대신 ‘동거’를 선호하는 청년층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그 결과 ① 결혼 연령의 상승, ② 출산율 저하, ③ 비혼 커플이 늘고 있습니다.
![]() |
[더 이상 결혼이 중요한 것이 아닌 태국의 젊은 층] |
3) 부모의 의견은 여전히 중요하지만 사랑과 개인의 선택이 우선시 되며, 부모는 보통 자녀의 결정을 믿고 지지합니다.
2. 글로벌 문화의 유입
1) SNS와 미디어를 통해 '다양한 웨딩 스타일'을 접한 젊은 세대는 보다 자신들의 취향과 개성에 맞는 결혼식을 원하는 젊은 세대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① 전통 혼례복 대신 웨딩드레스와 턱시도 착용을 선호합니다.
② 음악, 장소 모두 전통적인 틀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형태가 많아졌습니다.
※ 지난해 참석했던 아내 후배의 결혼식은 거의 ‘한국의 유튜브’에 소개되는 ‘Funny Wedding’ 수준이었습니다. 😎
![]() |
[태국의 현대적인 결혼식에서의 신랑&신부] |
2) 전통 결혼식 대신 호텔이나 리조트에서 서양식으로 하는 결혼식을 선호하는 커플들도 많아졌습니다.
① 도시에서는 결혼식은 대부분 서양식 스타일을 선호한다고 보면 되며, 전통적 요소는 간소화하여 결혼식 전과 후에 전통 의식을 간단히 병행하는 것이 아직은 일반적입니다.
※ 한국도 결혼식 후 ‘폐백 문화’가 있는 것과 마찬가지 입니다.
② 방콕, 파타야 등 대도시에는 전통적인 태국식 결혼식과 현대적인 서양식 결혼식 등 다양한 '웨딩 패키지'를 판매하는 호텔, 리조트들이 많습니다.
![]() |
[태국의 현대적인 결혼식장 모습] |
③ 현대의 결혼식은 참석한 하객들의 일정을 감안해서 연회까지 하루에 마무리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 오전에는 불교 의식, 오후에는 결혼식, 저녁에는 피로연으로 총 3부로 구성됩니다.
3. 경제적 현실
1) 물가 상승에 따른 결혼 비용에 부담감이 전통적인 결혼 문화를 유지하기 어렵게 만들었습니다.
2) ‘신솟 문화’도 점점 간소화되어, 일부는 아예 생략하거나 상징적으로만 진행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
['Small Wedding' 증가] |
3) 결혼 비용을 신랑과 신부가 공동으로 부담하는 경우도 많아졌다고 합니다.
4.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과 결혼에 대한 실용적 관점 확산
▒ 현대적인 결혼식의 절차
현재의 태국 결혼식은 아직까지는 전통과 서양식이 융합된 형태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 입니다.
1. 불교 의식
아침에 승려를 초청해서 ‘공양(탐분)’하고 축복을 받습니다.
2. 결혼식 및 반지 교환
가족과 친지를 초대해 결혼식을 진행하는 데 규모는 경제적 상황에 의해 결정됩니다.
![]() |
[과거에 비해서는 많이 간소화된 실용적인 결혼식이 늘고 있습니다!] |
※ 아직까지 ‘보여주기식 문화’가 강한 사회 분위기로 경제적 상황에 비해 무리하는 경우를 많이 보았습니다.
3. 물 붓기 의식
여전히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전통 의식 중 하나로 양가의 어른들이 진행해 줍니다.
![]() |
[가장 중요한 '결혼 의식'인 '물 붓기'] |
4. 피로연(Wedding Reception)
호텔, 레스토랑, 리조트 등에서 저녁에 피로연 진행하며 친구나 사회자가 분위기를 이끕니다.
① ‘피로연’에서 제공되는 주류의 종류로 결혼식의 격을 판단하기로 하는 데, 가장 인기있는 주류는 고급 수입 위스키와 태국 위스키인 ‘리젠시’ 라고 합니다.
② 일정관계로 ‘피로연’에 참석하지 못하는 참석자에게는 한국과 마찬가지로 준비한 '답례품'을 주는 것이 관례이며, 별도 식사 제공은 없습니다.
※ 태국어로 답례품은 '콩참루이'라고 하는 데, 품목은 보통 '비누', '머그컵', '작은 꿀' 등 입니다.
![]() |
[현대적인 결혼식 피로연] |
★ 태국에서 적당한 '축의금' 액수
혹시 태국에서 결혼식에 초청받는 경우 '축의금'은 다음과 같이 준비하는 것이 일반적 입니다.
1) 일반 지인은 500바트(약 20,000원) / 친한 친구 및 직장동료는 1,000바트(약 40,000원)
2) 친척은 2,000~5,000바트(약 80,000~200,000원)
3) 상사 및 사회생활에 중한 사람은 3,000바트 이상
※ '축의금'은 봉투에 넣어 '접수 테이블'에서 '방명록'을 적고 전달하며, 결혼식 후에는 '감사인사'를 받는 게 한국이랑 똑같습니다. 😎
▒ 글을 마치며
현재 태국의 결혼문화는 “서구식 결혼문화의 확산”으로 인해 기존의 “전통적인 결혼문화”와 ‘공존’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이러한 변화는 ‘한국’이 그랬던 것처럼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현재 남아있는 “전통적인 결혼문화”가 모두 없어지지는 않을 거라 예상을 하지만, 아름다운 의미를 가진 ‘전통문화’만큼은 잘 계승해 유지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태국문화’와 ‘태국전통’에 관한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면, 이 블로그의 다른 글들을 참고하세요^^
♬ Related Posts
Tags:
태국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