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와디 캅^^ 여러분의 슬기로운 태국 생활과 여행의 안내자, 태국 탐험가 'Son Sun' 입니다!
※ 한국이나 동북아 불교처럼 사원에서 식사를 준비하지 않습니다.
'태국불교'에서는 아직까지 초기 불교의 계율에 따라 승려들은 “탁발 공양을 통한 1일 1식 / 오후 불식”을 원칙적으로 지키고 있습니다.
※ ‘탁발'이란 승려들이 이른 아침에 마을을 돌며 신도들에게 공양을 받는 수행 방식을 말하며, '공양'이란 신도가 부처나 승려께 음식, 물품, 기도를 바치는 행위를 말합니다.
그러나 ‘우기안거(카오판사)’기간 동안에는 승려들이 사원 외부로 나가지 않고 집중적으로 수행을 하는 연유로 이러한 ‘탁발 공양’ 또한 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우기안거’가 끝나는 ‘억판사’를 맞아 전국의 사원에서는 대대적인 ‘탁발 공양’을 주제로 한 대규모 행사가 열립니다.
오늘은 ‘왓 사켓(푸카오텅)’에서 열린 저의 ‘탁발 공양 행사 체험기'에 대해 이야기 하겠습니다.
▒ 태국에서 ‘탁발 공양’의 의의
1. 신도들에겐 '공덕'을 쌓고, 승려들에겐 부처의 가르침을 실천
불교에서 ‘공양’은 ‘보시(타인에게 기꺼이 나눠 줌)’를 통해 ‘공덕’을 쌓는 행위이며 '탁발'은 부처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수행의 하나 입니다.
2. '탁발 공양'에 대한 태국인들은 진실한 믿음
'탁발 공양'은 탐욕을 버리고 선행을 쌓는 행위인 데, 태국인들은 '공양’을 하는 사람도 '공덕'을 쌓을 수 있다고 믿습니다.
※ 현실적으로 많은 '기부행사'가 이러한 믿음을 바탕으로 행해집니다.
▒ ‘탁발 공양’ 행사의 진행
지난 해 ‘억판사’ 다음 날 ‘방콕’의 ‘왓 사켓’에서 열린 '공양 행사'에 아내와 함께 직접 다녀왔습니다.
※ ‘억판사’란 "승려들이 3개월간의 ‘우기안거’ 수행을 마치는 나오는 날"로서 태국에서는 아주 중요한 불교 경축일 입니다.
행사시작이 오전 8시라 ‘파타야’ 에서 새벽 5시에 집에서 출발을 했습니다.
※ 일반적으로 ‘탁발 공양’은 보통 이른 아침(오전 5~7시 경)에 진행한다고 합니다.
1. 승려들에게 공양할 음식 준비
1) 이날 우리는 총 108명의 스님들에게 공양할 음식을 준비했습니다.
2) 준비한 ‘공양물’은 ‘1인분의 쌀을 담은 봉투’와 ‘생수’, ‘두유’를 숫자만큼 준비했습니다.
※ ‘108’은 불교에서 ‘우주와 인간 삶의 균형’을 의미하는 숫자입니다.
※ '공양물'은 자신의 형편에 맞게 준비하면 되며, 진심과 정성을 우선으로 합니다. 인스탄트 라면, 과자, 쌀, 빵 등 종류를 가리지 않고 음식류와 기타 생필품, 현금도 가능합니다.
2. 행사장 이동 및 도착
1) 행사 참여를 위해 이동하는 사람들로 방콕 시내는 이른 아침부터 정체가 심했습니다.
※ 아침 7시 30분 경 ‘왓 사켓’에 도착하여 주차후 행사장으로 급히 이동 😟…
2) 행사장에 도착하니 비가 내리는 날씨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수많은 사람들이 ‘공양 행사’를 준비중 이었습니다.
※ 태국인들의 이 행사에 대한 진심에 감탄했습니다. 👍 그 만큼 이 이 행사가 의미있고 중요한 행사라는 반증 이겠죠!
3. 승려들의 행렬과 함께 시작된 ‘공양’ 행사
1) 사원의 길을 따라 내려오는 승려들의 행렬 양 옆으로 사람들은 합장으로 승려들을 맞으며, 정성껏 준비한 ‘공양물'을 승려들의 ‘바리때(공양 바구니)’ 넣으며 소원을 빌었습니다.
※ 아내를 비롯해 '공양'하는 태국 사람들의 열정과 정성은 정말 감동적이었습니다.
2) '공양 행사'는 20~30분 동안 계속되었습니다.
3) 외국인 관광객들과 태국 현지 인플루언서들도 많이 와서 영상과 사진을 찍을 정도로 장관이었습니다.
▒ 행사를 체험한 후의 감상
물 한통, 인스탄트 라면 한 봉지를 '공양'하기 위해 비가 오는 데도 자리를 지키는 수많은 신도들의 모습에서 '공덕'을 쌓고자 노력하는 진솔한 태국인의 믿음을 느낄 수가 있었습니다.
▒ 글을 마치며
이 행사는 굳이 '불교신자'가 아니라도 참여할 수 있고 외국인도 마찬가지입니다. 태국과 태국인에 대해 더 많이 이해하고자 한다면, 본국에서는 볼 수 없는 이러한 이색적인 태국문화(특히, 불교문화)를 체험해 보시길 추천 합니다. 그리고 간 김에 ‘푸카오텅’ 관광은 '덤' 입니다. 😎
★ ‘태국문화'와 '전통’에 관한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면, 이 블로그의 다른 글들을 참고하세요^^